미국 서태평양 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서태평양 육군은 1941년 12월 12일 남태평양 태스크포스 본부로 창설되어, 주오스트레일리아 미군, 주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육군을 거쳐 1945년 6월 1일 미국 서태평양 육군으로 재편성되었다. 필리핀 마닐라에 본부를 두고, 류큐 제도 및 필리핀 육군을 관리했다. 1947년 1월 1일 필리핀-류큐 사령부로 재편성되며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미국 극동 육군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극동 지역의 미국 군사력을 통합 지휘하기 위해 창설된 미국 극동 육군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초대 사령관을 맡아 태평양 전쟁 초기 필리핀 방어전을 수행하고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으나 1957년 주일 미국 육군으로 재편되면서 해체되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미국 태평양 전략 공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 항공대의 전략 공군 조직인 미국 태평양 전략 공군은 일본 본토 전략 폭격,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작전에 관여했으며 해체 후 미국 태평양 공군으로 이관되었다. - 미국 육군의 사령부 - 미국 육군 전력사령부
미국 육군 전력사령부는 전 세계 통합군에 파견될 육군 부대를 준비하고 훈련시키는 임무를 수행하며, 1942년 창설되어 현재 미국 육군 예비군 사령부 등을 지휘한다. - 미국 육군의 사령부 - 미사일사령부 (미국)
미국 미사일사령부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존재했던 육군 부대들로, 제1, 2, 3, 4 미사일사령부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제4미사일사령부는 대한민국 춘천 캠프 페이지에 주둔하며 주한 미군과 한국군을 지원하다가 1978년에 해산되었다. - 1947년 폐지 - 국민혁명군
국민혁명군은 1924년 중국 국민당이 군벌 종식과 중국 통일을 위해 창설한 군사 조직으로, 쑨원의 삼민주의를 이념으로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직되었고, 북벌을 통해 중국 통일에 기여했으나, 이후 국공내전을 거치며 중화민국 국군으로 개편되었다. - 1947년 폐지 - 루마니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은 왈라키아 공국과 몰다비아 공국의 통합으로 성립된 루마니아 공국이 왕국으로 승격된 국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격변기를 겪고, 전후 소련의 영향력 아래 군주제가 폐지되며 멸망했다.
미국 서태평양 육군 | |
---|---|
개요 | |
![]() | |
원어 이름 | United States Army Forces, Western Pacific |
활동 기간 | 1941년 12월 12일 ~ 1947년 1월 1일 |
국가 | 미국 |
소속 | 육군 |
종류 | 지역 사령부 |
역할 | 서태평양에 주둔한 미국 육군에 대한 관리, 보급 및 지원 |
본부 | (정보 없음) |
별명 | (정보 없음) |
표어 | (정보 없음) |
색 | (정보 없음) |
군가 | (정보 없음) |
마스코트 | (정보 없음) |
지휘관 | |
지휘관 | (정보 없음) |
주요 지휘관 | (정보 없음) |
참전 | |
참전 | WW2, 남서태평양 전구 |
기타 | |
기념일 | (정보 없음) |
장식 | (정보 없음) |
훈장 | (정보 없음) |
2. 역사
미국 서태평양 육군은 1941년 12월 12일 ''남태평양 태스크포스 본부''로 창설되어[1],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쳤다. 12월 22일 브리즈번에 도착한 뒤 ''주오스트레일리 미군''으로 개편되었고,[2] 이듬해 1월 5일 본부를 멜버른으로 옮기면서 ''주오스트레일리 미국 육군''으로 재편성되었다.[3] 1942년 7월 20일, 서남태평양 지역 총본부의 일반명령 제17호에 따라 주오스트레일리 육군은 미국 육군 보급근무대로 재편성되어[4] 서남태평양 지역과 미국 극동 육군을 지원하였다. 1945년 6월 1일에는 필리핀 마닐라에 본부를 둔 미국 서태평양 육군으로 재편성되었고[5], 10월 14일 제10군 해체 이후 류큐 제도를, 20일 뒤에는 태평양 육군(USAFPAC)으로부터 필리핀 육군을 넘겨받았다.[6] 1947년 1월 1일, 미국 서태평양 육군은 필리핀-류큐 사령부로 재편되며 해체되었다.[7][8]
2. 1. 창설 배경
1941년 12월 12일, ''남태평양 태스크포스 본부''로 창설되었다.[1] 브리즈번에 도착한 12월 22일에 ''주오스트레일리 미군''으로 개편되었다.[2] 이듬해 1942년 1월 5일, 본부를 멜버른으로 옮기면서 ''주오스트레일리 미군''을 ''주오스트레일리 미국 육군''으로 재편성되었다.[3]2. 2. 보급 임무 수행
1942년 7월 20일, 서남태평양 지역 총본부의 일반명령 제17호에 따라 주오스트레일리 육군은 미국 육군 보급근무대로 재편성되었다.[4] 이 부대는 서남태평양 지역과 미국 극동 육군을 지원하였다. 일부 인원은 남아서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을 편성하였다.2. 3. 서태평양 육군으로 재편성
1945년 6월 1일, 미국 서태평양 육군으로 재편성[5]되고, 필리핀 마닐라에 본부를 설치하였다. 6월 7일에 제14대항공기사령부, 헌병사령부, 보충사령부, 공병건설사령부, 필리핀 건설대를 전속받았다. 루손으로 건너온 미국 남태평양 지역 육군은 올림픽 작전 지원을 위해 서태평양 육군 예하 ''ASCOM-O''로 재편성되어, 8월 15일에 제6군으로 전속되었다. 7월 31일, ASCOM-I가 창설되어 서태평양 육군에 배치되었다.2. 4. 류큐 제도 및 필리핀 육군 관리
1945년 10월 14일 제10군이 해체되자, 제10군이 통제하고 있던 류큐 제도를 넘겨받았다.[6] 20일 뒤에는 태평양 육군(USAFPAC)으로부터 필리핀 육군을 전속받았다. 필리핀 육군은 이듬해 미국 서태평양 육군의 일반명령 제168호에 의거하여 1946년 6월 30일 자정을 기점으로 미국 육군으로부터의 종속에서 벗어났다.[6] 1946년 7월 1일부로, 필리핀은 자국의 국군을 가지게 되었다.2. 5. 해체 및 재편
1946년 12월 31일, 미국 서태평양 육군 일반명령 제272호가 발효되어 다음 날인 1947년 1월 1일에 미국 서태평양 육군은 폐지되었다.[7] 모든 기능은 오키나와의 ASCOM-I과 합쳐져 새로 설립된 필리핀-류큐 사령부로 이전되었고,[7] 극동사령부 일반명령 제2호에 따라 극동사령부에 예속되었다.[8] 본부는 루손의 포트 맥킨레이로 옮겨졌다.[8]3. 조직구조
다음은 미국 서태평양 육군의 조직 구조에 관한 내용이다.
하위 섹션에서 부서, 1945년 6월 ~ 1947년 1월까지의 부대, 지역별 기지(1942년 ~ 1945년)에 대한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1946년 4월 15일 편성에 대해서만 간단히 작성한다.
- 오키나와 기지사령부: 1946년 7월 1일, 류큐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9]
- * 제24보병연대: 1947년 2월 1일, 제25보병사단으로 전속되었다.
- 주필 미국 육군(USAFIP) 지역사령부
- 제86보병사단 지역사령부: 1946년 10월 해산되었다.[9]
- 제32대항공기포병여단 지역사령부 - 필리핀: 1947년 5월 30일 해산되었다.[9]
3. 1. 부서
- 배급부: 1944년 2월 1일부터 1945년 2월 1일까지 존속하다가 폐지되었다.[9]
- G-4 조달부: 1944년 1월 1일부터 1945년 2월 1일까지 존속하다가 폐지되었다.[9]
3. 2. 부대 (1945년 6월 ~ 1947년 1월)
- 제3공병특별여단; 1944년 1월 20일 ~ ?
- 제10군; 1945년 10월 14일, 해산
- 제14대항공기사령부 (14th Anti Aircraft Command영어); 1945년 7월 31일, 배속
- 보충사령부; 1945년 7월 31일, 배속
- 헌병사령부; 1945년 7월 31일 ~ 8월 1일, AFPAC 전속
- ASCOM-C; 1946년, ASCOM-O에 병합.
- ASCOM-I - 오키나와; 1945년 10월 14일, 전속
- ASCOM-O - 루손; 1945년 6월 7일 ~ 8월 15일, 제6군 전속
- USASOS 종합창; 1944년 10월 8일 ~ 1945년 4월 20일, 폐지
- 전진보급근무대
- * ADSOS I - 포트모르즈비; 1943년 12월 27일
- * ADSOS II - 레이테; 1945년 1월
- * ADSOS III - 마닐라; 1945년 3월
3. 3. 지역별 기지 (1942년 ~ 1945년)
미국 서태평양 육군(USAFWESPAC)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다양한 지역에 기지를 두었으며, 이 기지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치, 해산, 재편성되었다.- 주요 부대:
- 제3공병특별여단
- 제10군 (미국)
- 제14대항공기사령부 (14th Anti Aircraft Command영어)
- 보충사령부
- 헌병사령부
- ASCOM-I - 오키나와
- ASCOM-O - 루손
- 전진보급근무대 (ADSOS)
- ADSOS I - 포트모르즈비
- ADSOS II - 레이테
- ADSOS III - 마닐라
3. 3. 1. 오스트레일리아
1944년 6월 1일, 기지 구역이 창설되었다. 1945년 2월 1일에 '오스트레일리아 기지구역'으로 개편되었으며,[9] 오스트레일리아 기지구역은 1945년 8월 15일에 폐지되었다.오스트레일리아 기지구역 예하에 제1기지구역에서 제7기지구역이 창설 및 개편되었다.
기지구역 | 존속 기간 | 비고 |
---|---|---|
제1기지구역 | 1942년 1월 5일 ~ 1944년 6월 1일 | 제1기지로 개편. 다윈의 제1기지는 1944년 7월 9일 폐지. |
제2기지구역 | 1942년 1월 5일 ~ 1944년 6월 1일 | 제2기지로 개편. 타운즈빌의 제2기지는 1945년 6월 19일 폐지. |
제3기지구역 | 1942년 1월 5일 ~ 1944년 6월 1일 | 제3기지로 개편. 브리즈번의 제3기지는 1944년 12월 12일 폐지. |
제4기지구역 | 1942년 1월 5일 ~ 1944년 6월 1일 | 폐지. |
제5기지구역 | 1942년 1월 5일 ~ 1943년 1월 8일; 1943년 9월 7일 ~ 1944년 6월 7일 | 폐지. |
제6기지구역 | 1943년 9월 7일 ~ 1944년 6월 19일 | 퍼스. 폐지. |
제7기지구역 | 1942년 8월 19일 ~ 1944년 6월 1일 | 제7기지로 개편. 시드니의 제7기지는 1945년 6월 19일 폐지. |
3. 3. 2. 뉴기니
U.S. Advance Base, New Guinea영어는 1942년 8월 11일부터 1943년 8월 14일까지 포트모르즈비에 있었던 전진기지였다. 이후 1943년 8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전진구역으로 변경되었다.- 마일만 하위기지: 1942년 11월 21일 설치
- 마일만 전진하위기지: 1943년 3월 9일 설치
- A 하위전기지: 1943년 4월 21일 설치
- A 전진기지: 1943년 8월 15일 설치
- 오로만 하위기지: 1942년 12월 9일 설치
- 오로만 전진하위기지: 1943년 3월 9일 설치
- B 하위전진기지: 1943년 4월 27일 설치
- B 전진기지: 1943년 8월 15일 설치
- C 하위전진기지: 굿이너프 섬
- 미국 D 전진기지: 1943년 6월 1일 설치
- D 전진기지: 1943년 8월 15일 설치
1943년 11월 15일부터 중간구역(Intermediate Section영어)으로 개편되었다.
- 뉴기니 기지구역 (New Guinea Base Section영어, NUGSEC): 1945년 2월 15일부터 8월 15일 폐지될 때까지 운영.
산하 기지는 다음과 같다.
기지명칭 | 존속기간 |
---|---|
A 기지 | 1943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B 기지 | 1943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D 기지 | 1943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E 기지 | 1944년 2월 13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F 기지 | 1944년 3월 1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G 기지 | 1944년 6월 25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H 기지 | 1944년 8월 20일 ~ 1945년 8월 15일, 폐지 |
G 기지는 1944년 6월 7일부터 6월 25일까지 존속하다가 "중간구역"으로 전속되었다. 전진구역은 1943년 8월 15일부터 1944년 3월 1일까지 존속하다 폐지되었다.
- E 기지: 1943년 11월 15일 ~ 1944년 1월 11일, "개척태스크포스 1"로 전속.
- F 기지: 1943년 11월 11일 ~ 1943년 3월 1일, "중간구역"으로 전속.
개척태스크포스 1 (Pioneer Task Force I영어)은 1944년 1월 11일부터 2월 13일까지 존속하다 폐지되었다.
- E 기지: 1944년 1월 11일 ~ 2월 13일, "중간구역"으로 전속.
3. 3. 3. 필리핀
Army Service Command (ASCOM)영어는 1944년 7월 23일부터 1945년 2월까지 존속했던 부대로, K 기지, M 기지, Q 기지, R 기지, S 기지, T 기지, X 기지와 보트건조사령부, 공병건설사령부를 포함했다.[9]부대 | 날짜 | 비고 |
---|---|---|
K 기지 | 1944년 9월 16일 ~ 12월 26일 | USASOS 직속 |
K 기지 | 1944년 12월 26일 | 타클로반 |
M 기지 (임시) | 1944년 10월 5일 | 훌란디아 |
M 기지 | 1945년 2월 13일 | 폐지 |
M 기지 | 1945년 4월 20일 | 산페르난도 |
Q 기지 | 1945년 4월 11일 ~ 6월 10일 | 타클로반, 폐지 |
R 기지 | 1945년 2월 26일 | 바탕가스 |
S 기지 | 1945년 2월 26일 | 세부 |
T 기지 | 1945년 4월 5일 ~ 6월 20일 | 타클로반, 폐지 |
X 기지 | 1945년 1월 29일 ~ 1945년 2월 13일 | 마닐라, 폐지 |
1945년 4월 20일 ~ 6월 16일 | PHIBSEC에 병합됨 | |
1945년 7월 26일 ~ 8월 15일 | ||
보트건조사령부 (Boat Building Command (BBC)영어) | 1944년 6월 24일 창설 1945년 4월 20일, ENCOM에 전속 1945년 6월 7일, AFWESPAC에 전속 | 사방 해변 |
공병건설사령부 (Engineer Construction Command (ENCOM)영어) | 1945년 3월 6일 | 마닐라 |
레이테 공병사령부 (Leyte Engineer Command영어) | 1945년 1월 29일 창설 ~ 2월 1일, 지구로 개편 | |
레이테 공병지구 (Leyte Engineer District (LED)영어) | 1945년 3월 6일, ENCOM 전속 1945년 5월 9일, 해산 | |
루손 공병지구 (Luzon Engineer District (LUZED)영어) | 1945년 1월 29일 창설 1945년 3월 6일, ENCOM 전속 1945년 7월 18일, 해산 | |
필리핀 건설대 (Contruction Corps of the Philipines (CONCOR)영어) | 1945년 4월 25일 | |
종합공병지구 (General Engineer District (GENED)영어) | 1945년 3월 25일 |
3. 4. 1946년 4월 15일 편성
- 오키나와 기지사령부; 1946년 7월 1일, 류큐사령부로 재편성.[9]
- * 제24보병연대; 1947년 2월 1일, 제25보병사단으로 전속.
- 주필 미국 육군(USAFIP) 지역사령부
- 제86보병사단 지역사령부; 1946년 10월, 해산.[9]
- 제32대항공기포병여단 지역사령부 - 필리핀; 1947년 5월 30일, 해산.[9]
4. 계보
- 1941년 12월 12일: 남태평양 태스크포스, 본부 Headquarters, Task Force South Pacific (HQ TFSP)영어
- 1941년 12월 22일: 주오스트레일리아 미군, 본부 Headquarters, United States Forces in Australia (HQ, USFIA)영어
- 1942년 1월 5일: 주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육군, 본부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Australia (HQ, USAFIA)영어
- 1942년 7월 20일: 미국 남서태평양지역 보급근무대, 본부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Services of Supply (HQ, USASOS)영어
- 1945년 6월 1일: 미국 서태평양 육군, 본부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Western Pacific (HQ, USAFWESPAC)영어
- 1947년 1월 1일: 필리핀-류큐 사령부 Philippines-Ryukyus Command (PHIRYCOM)영어
참조
[1]
저널
General Order No. 1
Headquarters, Task Force South Pacific
1941-12-12
[2]
저널
General Order No. 4
Headquarters, Task Force South Pacific
1941-12-19
[3]
저널
General Order No. 1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Australia
1942-01-05
[4]
저널
General Order No. 17
General Headquarters, South West Pacific Area
1942-07-02
[5]
저널
General Order No. 3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the Pacific
1945-06-01
[6]
웹인용
Philippine Army and Guerrilla Record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20-02-18
[7]
저널
General Order No. 272
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Western Pacific
1946-12-31
[8]
저널
General Order No. 2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1947-01-01
[9]
저널
U.S. Army Forces Pacific 15 April 1946
https://rnavi.ndl.go[...]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2017-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